오늘속으로......독사신론 <7>

조회 수 3103 2003.08.27 13:19:43
모모


1908년 8월27일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가 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이라는 제목의 사론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그 해 9월15일까지 1차분이 연재되고 다시 10월29일부터 12월13일까지 2차분이 연재돼 50회까지 나아간 이 미완의 사론은 우리 역사에서 근대적 민족주의 사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독사신론’은 그 즈음 일본 학계의 영향 아래 조선 사학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ㆍ단군부정론(檀君否定論) 등에 대한 대타(對他)의식을 바탕에 깔고 있다. .


실제로 김택영(金澤榮)의 ‘동사집략(東史輯略ㆍ1902)’과 그 증보판인 ‘역사집략(歷史輯略ㆍ1905)’은 그 때까지 전승되던 단군의 실재성을 부정하고 있었고, 현채(玄采)의 ‘동국사략(東國史略ㆍ1906)’은 일본이 가야를 지배했다는 이른바 미마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신채호는 이런 역사 인식들을 일본 제국주의의 그림자로 파악하고 ‘독사신론’을 통해 민족을 주체로 삼는 역사 기술을 시도했다.

신채호에 따르면 동국(東國) 즉 우리나라를 구성하는 민족은 선비족ㆍ부여족ㆍ지나족ㆍ말갈족ㆍ여진족ㆍ토족(土族)의 여섯인데, 이 가운데 단군 자손인 부여족이 다른 5족을 정복하고 흡수해서 동국 역사의 주류가 되었다.

동국 역사를 일본 민족과는 무관한 부여족의 역사로 파악함으로써, 그는 일선동조론과 단군부정론을 동시에 돌파하고자 했다. 신채호는 특히 신라가 이족(異族)인 당(唐)을 끌어들여 ‘동족(同族)’인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을 민족적 시각에서 단죄했다.

민족을 상상된 공동체로 파악하는 요즘의 시각에서 보면 충분한 실증에 밑받침되지 않은 ‘독사신론’은 낡은 사관의 창고라고 할 만하지만, 그 때까지의 왕조 중심 역사 서술을 민족 중심으로 바꿨다는 점에서 일정한 진보성을 띠고 있었다. <고종석 .한국일보>







댓글 '1'

달맞이꽃

2003.08.28 09:21:50

모모님 ~
음악소리가 청하하게 들리네요 ..
어릴적에 재미나게 두드리던 실로펀 소리 같기도 하고 후후후~~
고맙습니다 ..
매번 좋은글 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32 인스타일~3월호 사러 가야겠네요~^^* [2] 김수연 2004-02-23 3060
431 최지우 누나의 오늘 운세입니다 ^-^ [3] Heaven2312 2004-02-23 3060
430 작은사랑실천 캠페인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이덕영 2004-02-27 3060
429 운영자님?? [2] 행인 2004-02-29 3060
428 지우불패!! 흥행불패!! ~~ 시청률 자료입니다. [6] 넘버원지우 2004-03-02 3060
427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 ^^ [4] 송주아내 2004-03-07 3060
426 처음이라 무지 떨리거든요. 많이 봐주세요. 못했던 말 할려구요... [11] Flora 2004-03-11 3060
425 No.19419의 제 글을 읽고 쓰신 ‘흠냐~’님의 답글을 읽고서... [3] 토미 2004-03-20 3060
424 투표합시다. [4] 장미애 2004-03-22 3060
423 운영자 현주님~~ 아까 문짜보냈던 윤소예요!!^^ 최윤소 2004-03-26 3060
422 솔직히 섭섭해요~ [3] 지우향기 2004-03-27 3060
421 오늘도 어김없이.. 로우의 세벽인사.. [5] LoW 2004-03-27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