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안리

별별토크] 최지우 "'복덩이' 박복녀, 하길 참 잘했죠"

 

20131209023708_1.jpg

최지우가 연기 변신에 성공했다.

최지우는 지난달 종영한 SBS ‘수상한 가정부’에서 박복녀 역할을 통해 시청자들과 만났다. 그런데 2년 만에 돌아온 그녀는 우리에게 조금 낯선 모습이었다. ‘지우히메’ ‘한류 여신’ ‘멜로퀸’ 등의 수식어로 불리던 청순가련 여주인공은 없었다. 스토커 때문에 사랑하는 남편, 아들을 한 순간에 잃어야 했던 박복한 여자, 감정을 숨기고 무표정하게 살아가는 박복녀만 있었다.

“복녀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어요. 사실 저도 처음에는 이름을 보고 ‘이름 바꿀수 없나? 왜 하필 박복녀지’ 했죠. 그런데 ‘박복녀’라는 이름에는 두 가지 뜻이 있어요. ‘박복’과 ‘복녀’, 전자는 복이 없다는 뜻이지만 후자는 여러사람에게 복을 주라는 의미였거든요. 그런 이야기를 들으니까 바꿀 수가 없더라고요. 후반부로 갈수록 사람들이 이름 대신 ‘복녀님’이라고 불렀죠. ‘복녀님’, 정말 정감 있지 않아요?” 

수상한 가정부’는 엄마의 죽음으로 무너진 한 가정에 정체불명의 가사도우미 박복녀가 들어오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다. 서로를 미워했던 가족들이 우여곡절 끝에 사랑과 용서, 화해를 통해 붕괴된 가정을 복원하고 진정한 가족 사랑의 의미를 깨닫는다는 감동적 스토리를 담고 있다. 최지우의 말처럼 박복녀의 존재가 무너진 가족의 가족애를 불러일으키는 복덩이였던 것.

최지우에게도 박복녀는 복덩이 캐릭터다. 첫 방송부터 종영에 이르기까지 똑같은 패딩점퍼에 검은 모자만 쓰는 캐릭터였지만 덕분에 그녀의 연기에 집중하게 됐다. 로봇처럼 딱딱한 말투였지만 덕분에 잊을만 하면 피어올랐던 발음 논란에서도 자유로웠다. 극 초반 최지우에게 느껴진 ‘낯섦’은 최지우의 ‘변화’의 시작이었다.

“작품을 선택했을 때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어요. ‘너가 보여줄수 있는 연기의 장점이 드러나지 않는 작품을 왜 굳이 하느냐?’라는 거죠. 사실 저도 처음 1, 2, 3부만 봤을 때는 ‘못하겠다’ 그랬어요. 근데 휴가차 캐나다로 떠나는 비행기 안에서 한숨도 안자고 10시간 동안 대본만 읽게 되더라고요. 도착하자마자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두 달 예정이었는데 열흘만에 돌아왔어요(웃음). 조금씩 가슴을 젖어들 게 하는 감동이 와닿았죠. 결론적으로 하길 잘했어요. 도전 후 얻어지는 성취감도 크고 좀 더 앞으로 나아간듯 한 기분이에요.” 

어느덧 데뷔 20년 차를 맞이 한 최지우. 그녀에게 이번 연기 변신은 여배우 인생 2막을 여는 신호탄으로 보이기도 했다.

“지금 제가 첫사랑의 설레는 역할을 할순 없잖아요. 이제는 풋풋한 멜로보다는 어른들의 드라마, 처절한 멜로가 하고 싶어요. 최지우의 멜로요? 글쎄요, 독신주의자도 아니고 아이들을 좋아해서 언젠간 좋은 소식을 들려드리겠지만 조바심을 내고 싶진 않아요. 친구같이 좋은 사람이 이상형인데 만나기가 쉽진 않네요(웃음).”

 

이성재 “‘수상한가정부’ 아쉬운점? 최지우와 러브라인”(인터뷰①)

 

20131206_1386307299_29017500_1.jpg?1386519208

 

TV리포트=문지연 기자] 외면적 상황이 가장 비슷했다. 실제로 기러기 아빠인 이성재(43)는 최근 종영한 SBS 월화드라마 ‘수상한 가정부’(백운철 극본, 김형식 연출) 속 은상철을 자신의 모습에 대입해 이해했다. 하지만 애정을 가졌던 만큼 아쉬운 점도 컸다.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이성재를 만났다. MBC ‘나 혼자 산다’ 속 털털한 모습을 상상하고 가야할지, 그 나이대 중년 남자배우의 모습을 생각하고 만나야할지 감이 오지 않은 상황에서 마주한 이성재는 소탈하고도 편안한 아저씨 그 자체였다.


◆가족에 대한 결핍을 해소해준 작품

 

기러기 아빠다. 캐나다에 두 딸과 아내를 두고 그야말로 ‘나 혼자 살고’ 있다. 누구보다도 가족이 그리운 이 남자는 “가족에 대한 결핍을 채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수상한 가정부’를 택했단다. 특히 아역배우들과 함께 촬영하며 자신을 친아빠처럼 따르는 모습에 흐뭇한 미소를 짓기도 했다고.


“아이들과 함께한다는 이유로 이번 작품을 선택했어요. 그래서 정말 내 아이들처럼 결남매를 대했죠. 개인적으로 가족적인 결핍이 채워지다 보니 정도 느꼈어요. 셋째 세결이(남다름)는 과장을 더하자면 스토커(?)처럼 절 따랐어요. 친아빠가 질투할 정도로 절 따르고 좋아하는 모습에 뽀뽀도 하고 그랬죠. 최근엔 중간고사 본다고 응원문자 해달라고 문자도 오고 그랬어요.(웃음)”


실제로 이성재는 촬영장에서 ‘인기 1위’에 뽑힐 정도로 아이들과 잘 어울렸다. 특히 첫째딸 한결 역의 김소현은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상철 아빠께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항상 눈높이에 맞춰 대화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을 정도. 이성재는 촬영장에서 아역 배우들과 스스럼 없이 어울리며 장난을 치는 모습으로 훈훈함을 자아냈다고. 이는 최지우의 입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최지우 또한 이성재에 고마운 마음을 드러냈다.


“아이들을 보면 캐나다에 있는 가족들이 생각났어요. 그래서 진짜 제 아이들처럼 대해줬죠. 촬영장에선 정신연령에 맞춰 별 장난을 다 쳤어요. 큰딸부터 둘째 아들, 막내까지 밤샘 촬영하느라 힘들어하는 모습이 안타깝기도 했고요. 마사지로 잠을 깨워서 촬영하는데 잠을 못자는 고통은 어른들도 못 견디는 건데 참 안됐죠.”


◆“‘수상한 가정부’ 빛낸 최지우, 고마운 배우”

밤샘 촬영은 기본이었다. 그야말로 ‘수상한 가정부’는 배우들에게 ‘잠과의 전쟁’이었던 것. 억지로 잠을 깨가며 촬영해야 했던 이는 이성재뿐만이 아니었다. 드라마 속 가장 많은 분량을 소화해야했던 최지우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아역 배우들까지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며 촬영에 열중해야 했다.


“(최)지우는 정말 힘들었을 거예요. 여배우로서 저렇게 촬영해선 안 될 텐데 할 정도로 힘든 상황에서도 촬영을 이어갔어요. 8일 밤을 새면서 촬영을 했죠. 2회에선 쌍꺼풀이 두 겹 세겹이 되기도 하면서 안쓰러워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최대한 촬영장에서 여배우를 배려하려고 노력했어요. 아역들도 말할 것도 없었죠. 아이들은 정말 고생했을 거예요.”


드라마를 시작하기 전부터 촬영 중에도 일본 원작인 ‘가정부 미타’를 한 번도 못지 않았다는 이성재는 딱 한 번, ‘가정부 미타’를 1회 중반까지 본 적 있다고. 하지만 ‘가정부 미타’의 주인공 마츠시마 미타보다 최지우의 연기력과 싱크로율을 더 높게 평가했다.


“최지우는 기대 이상으로 잘해줬어요. 솔직한 말로 ‘수상한 가정부’ 이전 최지우의 모습에선 매력을 느끼지 못했는데 이번 작품을 하면서 지우에게 ‘너 참 눈빛이 묘하다. 야릇한 카리스마가 있다’고 말해주기도 했죠. 원작 여배우보다 훨씬 좋다고 보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지우에게도 득이 된 작품일 거라고 생각해요.”

 

◆일본 원작 드라마 아쉬운 부분도

원작이 있는 드라마기에 오는 아쉬운 점들이 있다. 우리나라 정서에 맞지 않는 일본풍을 그대로 따르거나 미묘하게 비슷한 분위기로 극을 이끌어 갈 때 시청자들은 드라마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수상한 가정부’도 예외는 아니었다. 드라마 시작부터 미묘하게 풍기는 일본풍과 함께 극단적인 해결법 등이 도마에 오르며 아쉬움을 안겼다. 게다가 지속적으로 등장한 자살시도 장면과 욕설 장면 탓에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경고 조치를 받기도 했다.


“원작을 똑같이 하는 건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많이 비슷했죠. 어떤 대사들은 일본 원작과 완벽히 일치한 것들도 있었어요. 해결법은 너무 극단적이었죠. 자살 시도도 너무 많이 나왔어요. 또 두결이(채상우)가 복녀의 뺌을 때리는 장면도 ‘어떻게 방송에 나갈까’ 걱정을 많이했죠. 아니나다를까 방송 후 반응이 바로 오더라고요. 그런 점들이 아쉬웠죠.”


‘수상한가정부’의 원작 ‘가정부 미타’는 11부작 드라마였다. 원작보다 9회나 더 진행된 ‘수상한가정부’는 나머지 부분에 미스터리와 스릴러를 담당하는 인물 장도형(송종호)를 끼워넣으며 제 2막을 열었다. 이성재는 이 부분에도 아쉬움을 갖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최지우와의 러브라인을 기대했었다는 것.


“극중에서 복녀님과 러브라인이 그려지길 바랐어요. 둘이 데이트도 좀 하고 상처를 보듬어주길 원했죠. 하지만 미스터리로 가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은상철이 복녀님을 사랑했을 것 같아요. 섹슈얼적인 사랑이 아니라 가족적인, 플라토닉한 사랑을 했겠죠. 은상철은 복녀님에게로 자꾸만 가고 싶은데 극중에서 은상철은 자꾸만 과거 윤송화(왕지혜)와의 과거 관계에만 자꾸 얽매이려 하는 모습도 아쉬웠어요. 어떨 땐 답답한 부분도 많아 신 자체를 추린 적도 있고 대사를 넣고 뺀 적도 있었죠.”


◆이성재의 2013년은? “무난했다”


‘구가의서’부터 ‘나 혼자 산다’, ‘수상한가정부’까지 쉼없이 달렸다. 이성재에 2013년을 보낸 자신에 점수를 매겨 달라 부탁하니 “별 다섯 개 중 두 개 반? 세 개”라는 대답이 들려왔다. 다소 겸손한 듯한 발언에 그 이유를 물었다.


“별 두 개 반에서 세 개 정도예요. 올해를 보낸 느낌은 잘 보낸 것 같아요. 기분 좋은 한 해를 마무리했죠. 육체적으로 힘든 것도 있었지만 그것 이상으로도 정신적인 행복감을 많이 느꼈어요. 그래서 반반. 내년에도 물론 좋은 촬영을 하고 싶죠. 일단 그냥 전 제 앞길을 갈뿐이예요.”

 

앞길을 묵묵히 가고 싶다는 이성재에 향후 계획을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올 한해 악역부터 소탈한 아저씨의 모습까지 그야말로 팔색조 매력을 보여준 그였기에 이후의 계획이 궁금해졌다.


“생각하고 있는 것은 없지만, 사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한국 영화를 한 편도 안 봤어요. 아시다시피 제가 영화 쪽에선 좀 그랬잖아요? 그래서 천만 관객을 넘은 영화도 절대 안 봤죠. 영화를 꼭 하고 싶어요. 그동안 영화를 보지 않았던 마음을 한 번에 폭발시키려고요. 하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968 Merry Christmas !!! [2] kim 2013-12-24 3843
31967 스타지우 가족 여러분~ Merry Christmas~~!!! file [1] 코스(W.M) 2013-12-24 4096
31966 ☆Merry Christmas~~!!! [1] sapato 2013-12-24 3636
31965 연말의 수상식에는 출석 하시는 것입니까? [3] JIWOOIST 2013-12-19 5091
31964 최지우님 변신은 현재 진행 중!! file [2] 코스(W.M) 2013-12-17 4588
31963 최지우, 깊어진 눈빛을 지니고 싶다(인터뷰) [2] 2013-12-16 5805
31962 송종호 “최지우 왜 톱스타인지 알겠더라”(인터뷰) [2] 비비안리 2013-12-14 6291
31961 배우 최지우가 말하는 '수상한가정부', 그리고 복녀님(인터뷰③) 팬2 2013-12-10 4633
31960 내년 2월에 대만에서 수가가 방영된다던데 [2] 2013-12-10 4321
» 별별토크] 최지우 "'복덩이' 박복녀, 하길 참 잘했죠" 비비안리 2013-12-10 4677
31958 요즘 재미있는 예능프로그램 많네요~ 지우언니는 휴식하시면서 무엇을 보실까요~? [3] 2013-12-09 5074
31957 복녀님의 다복한 가정을 상상해 봅니다 (MV) [5] 코스(W.M) 2013-12-07 5560